Heejoon Lee, galadbran aka wafe.
Stay Hungry. Stay Foolish. Don’t Be Satisfied.
Heejoon Lee, galadbran aka wafe.
Stay Hungry. Stay Foolish. Don’t Be Satisfied.
Ubuntu 18.04 환경을 아직 사용하는 곳이 있는데, 이 환경에서는 glibc 버전이 2.27이다.그래서 node.js 18 이상의 버전은 Ubuntu 18.04에서 (적어도 공식 빌드로는) 설치해서 사용할 수가 없다. node.js 18 공식 배포 버전은 glibc 2.28 이상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시스템에 설치된 glibc 버전을 getconf GNU_LIBC_VERSION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행히 호환성을 위해서 glibc 2.17 버전을 기준으로 빌드한 결과물을 Node.js Unofficial Builds Project에서 배포하고 있다. 2.17 버전인 이유는 아마도 RHEL 7에 2.17 버전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하도 오래전에 만들어두고 쓰지를 못했던 블로그라서 잘 될까 싶었는데, 다행히 push만 하니까 netlify 에서 잘 빌드되어서 만족스럽다. 생각해보니 github pages 를 이용한 블로그 만들기가 한창 유행이라서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좀 더 근본적으로는 블로그 글을 독립적으로 내가 소유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 git 저장소, 마크다운 텍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시작하게 된 거였다. 사이트 자체는 gatsby 라는 도구나 netlify 라는 서비스에 의존을 하고 있기야 하지만 원본 글은 내가 가지고 있고, gatsbyjs 를 못쓰게 되거나 netlify 라는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도 콘텐츠로부터 다시 사이트를 만들어낼 가능성도 높아 보였기 때문이다....
원문 링크: https://z.vandillen.dev/2022/11/21/unix-time-bad/ 긱뉴스 링크: https://news.hada.io/topic?id=7898 이 번역은 현재 원저자의 명시적인 허락을 받은 상태가 아니므로, 저작권 문제 등으로 인해 추후 내용의 변경이나 게시 상태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처음 정보를 접하게 된 긱뉴스 기사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번역 제목은 긱뉴스 기사의 제목을 따랐다. 복잡한 윤초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글에 대한 내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간단히 한국어로 옮겨본 것이므로, 번역의 품질에 크게 신경쓰지는 않은 상태이다. 구분선 아래부터가 번역문이고, 원문과 번역문의 문단을 번갈아 배치했다....
태그에는 한글을 사용할 수 있을까
최근에 PHP 파일에만 설정을 적용하고 싶어서 찾아보았다. 일단 내가 주로 쓰는 환경(Ubuntu 16)에서는 php 파일 타입을 자동인식은 잘 해주고 있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이 잘 되었다. filetype plugin indent on autocmd FileType php setlocal shiftwidth=4 tabstop=4 expandtab autocmd를 사용해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커맨드를 지정할 수 있다. 설명서에서 ‘Add’ 라고 표현하고 있으므로 계속해서 이벤트 핸들러를 추가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문제 없을 듯하다. 설명서를 보면 길고 긴 이벤트 목록이 나열되어 있다....
망분리가 되어서 완전히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Internet Explorer 11 (Windows 7)로 HTTPS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약 30초 정도가 걸리는 문제를 겪었다. 한 번 접속하고 나면 이후의 네비게이션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새탭을 띄우면 동일한 주소라고 해도 역시 최초에는 3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새 탭을 띄우면 새로운 연결(혹은 새로운 탭 프로세스)를 만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완전한 폐쇄망에서 SSL 사이트를 다루는 일은 처음이라,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 적이 없었다....
vim 에서 파일을 열었을 때, vimgrep 등 다른 기능을 더 쓰고자 할 때 일단 지금 열고 있는 파일이 포함된 디렉토리로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해야 할 때가 있다. 이는 간단히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는데, :cd %:p:h 그동안 의미를 모르고 그냥 외우다시피 하여 사용하고 있다가, 좀 더 찾아보자 싶어 검색을 하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이게 % 로는 찾아지지가 않고 이리저리 헤메다가 stack overflow 의 어딘가에서 vim help 페이지 링크(filename-modifiers)를 걸어둔 것을 찾아서 의미를 알게 되었다....